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7

P2P 8퍼센트 1000만 원 3년 동안 투자 후기 P2P 8퍼센트 1000만 원 3년 동안 투자 후기 출처 https://8percent.kr/8퍼센트는 개인 P2P중에서 가장 큰 업체 중 하나입니다.일반적으로 1년치 채권을 최소금액 1만 원으로 책정하여 그 금액이 모이면 개인신용 등으로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홈페이지 보면 평균 수익률 10% 로 분산 투자하면 안전하다 라고 하는데요. 보고 판단해보시라 제가 직접 17년 6월 첫투자를 시작해서 20년 6월 99프로 상환 완료까지 1000만 원 투자한 수익을 공개해 드리려 합니다. 투자는 균형투자형 자동투자로 진행하였고 최소금액인 1만원으로 채권에 분산 투자하였습니다. (17년도에는 5만 원이 최소 금액이었습니다.)혹시 모를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일부 가렸습니다.20년 10월 현재 투자 요약입니다. 누적 투.. 2020. 10. 3.
카이스트 대학원생은 얼마를 받을까? 카이스트 대학원생은 얼마를 받을까? 안녕하세요 N연차대학원생 입니다. 대학원 생활을 하다 보면 돈 때메 우리가 공부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인간다운 삶은 영위해야 하기 때문에 얼마를 받는지 알아야합니다. 하지만 많은 대학교가 있고 실험실 바이 실험실 이기 때문에 얼마를 받는지 공개 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 카이스트의 경우 에서는 stipend 제도를 2019년 부터 시범적으로 시행하였습니다. 예전에는 교수의 연구비에서 학생 인건비를 지급하였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먼저 연구과제가 많은 실험실에서는 학생의 연구비가 200 만원 넘은 경우도 있으며 어떤 실험실에서는 연구과제기한이 끝나면 월급을 못받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 따라서 카이스트에서는 학교가 개입하여 학생들에게 석사는 월 70만원 박.. 2020. 9. 29.
외부 사람들은 잘 모르는 카이스트 공대 대학원 장학생 구분 외부 사람들은 잘 모르는 카이스트 공대 대학원 장학생 구분 카이스트 공대 대학원 는 교육부 소속의 대학교와 다르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등록금이 공짜다 장학금 받으면서 돈 걱정없이 다닌다 라는 루머가 있습니다. ​ 이 오해를 해소 해드리기 위해 제가 등록금(납입금) 그리고 장학생 구분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 위 표는 카이스트 포탈에서 가져온 2020 년도 신입생 납입금 책정표입니다. ​ 입학금 약 100만원 정도로 2019년 폐지되었습니다. 석사 졸업 후 박사 진학 때에도 입학금을 내야했습니다. 불합리한 제도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이라도 폐지 되서 다행입니다. ​ 먼저 선택금액인 의료상조회비와 학생회비는 선택사항입니다. 안 내도 큰 불이익은 없습니다. 의료상조회.. 2020. 9. 29.